본문 바로가기

경제학/경제학 입문

경제학 입문) 정의, 공부 순서, 시험 속 경제학

※) 순수 학문으로서의 포스팅보다는 수험(취업) 위주의 경제학 위주로 다루고 있습니다!

Ⅰ) 경제학의 정의

 

경제학(Economics)란 '한정된 자원 속에서 어떻게 분배하고 사용할지'에 관해 연구하고 탐색하는 학문입니다.

인구수는 점점 늘어나고 자원은 언제나 한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자원의 분배와 사용은 우리 사회의 민감한 문제가 

된 만큼, 경제학의 중요도는 점점 올라가고 있습니다.

 

Ⅱ) 경제학 공부순서

서울대학교 경제학부의 커리큘럼에 따르면 아래의 사진과 같은 순서로 경제학에 대해 공부합니다.

다른 대학교도 보통 아래와 비슷한 교육과정을 따라갑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커리큘럼https://econ.snu.ac.kr/announcement/notice?bm=v&bbsidx=3474&page=35

 

Ⅱ- a) 고등학교 경제 공부를 먼저 해야 할까?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굳이 공부하지 않아도 괜찮다'입니다. 

뒤에서 소개하겠지만 경제학원론 이전에도 경제학을 보다 쉽게 공부할 수 있는 책들도 많고

고등학교 경제과목은 대학교에서 배우는 경제와 성격이 많이 다르기 때문에(ex. 퍼즐형 문제)

굳이 공부하지 않고 단순 시사 상식만 있어도 경제학 공부를 시작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Ⅱ- b) 수학 공부를 많이 해야 하나?

'많이'의 기준은 저마다 다르지만 분명 경제학과는 수학이 필수입니다.

학부 수준의 경제학을 공부한다면 아래와 같은 정도의 이해가 필요합니다.

 

미적분학, 선형대수학, 해석학, 통계학 정도가 필요하며

본인이 어떤 진로를 희망하느냐에 따라 추가되거나 빠지는 과목이 있지만

뒤에서 소개할 경제학의 기본적인 과목인 '미시/거시 경제학'을 공부하려면

 

미적분학, 선형대수학 정도가 필요하며

대부분의 대학에서는 고등학교 문과 학생들을 위한 수학과목이 개설되어 있으니

그 강의를 들으시면 충분합니다.

 

Ⅲ) 수험과 경제학

경제학이 출제되는 대표적인 시험은 다음과 같습니다.

 

CPA, CTA, 감정평가사, 보험계리사

5급 공채, 외교관 후보자 선발시험, 입법고시

금융공기업 경제직렬

한국은행

 

위 시험들에서의 경제학의 공통점은 '최고난도', '전략과목'입니다

특히 5급 공채나 CPA, 한은 같은 경우 대한민국에서 가장 어려운 경제학 시험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경제학이 위 시험의 당락을 결정할 수도 있다는 뜻입니다.

 

Ⅲ- a) 출제 범위

각 시험마다 출제하는 범위가 다르지만 서울대 경제학부 커리큘럼을 기준으로

말씀드리면 아래의 과목들만 공부하면 대부분의 경제학 시험을 준비할 수 있습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홈페이지

참고로 게임이론이나, 시계열분석의 경우에는 일부 내용만 출제되거나 출제되는 곳이 거의 없습니다(한은은 출제)

 

다음 포스팅에서는 전공 입문 전 읽을만한 책을 소개하고 경제학원론에 대해 안내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